Category222 드라이버 마운트된 이미지의 드라이버 목록 보기 / 추출 / 삭제 기능 MAKCommand/마운트 2025. 5. 5. 마운트 대상 마운트폴더- 마지막으로 작업한 마운트 폴더 자동저장(ini파일) 1. 이미지파일(wim파일)- 이미지파일 탑재 2. 현재시스템(Online)- 현재부팅된 윈도우를 대상으로 지정 (실제마운트는 아님)-적용불가능한 기능은 비활성화 3. 오프라인이미지(Offiline)- 윈도우 이미지를 풀어놓은 드라이브나 폴더 MAKCommand/마운트 2025. 5. 5. 작업대상 파일 선택 방법 각 페이지별로 약간 다르나 대부분 비슷1. 버튼을 눌러 선택 2. 리스트영역(있는경우)에서 우클릭 3. 리스트영역으로 드래그 4. 검색된 이미지에서 선택 ( 설정페이지에서 단계조정) 5. 윈도우탐색기에서 작업파일 우클릭 ( 설정페이지에서 우클릭 활성화시)-적용할 수 있는 모든 페이지에 작업대상으로 지정 MAKCommand 2025. 5. 5. UI imagex dism wimlib bcdboot bcdedit diskpart 등 사용되는 명령줄을 표시하여필요한 경우 명령줄을 복사하여 사용 imagex dism wimlib 버전 고정maksuite 처럼 실행파일 위치에 유틸저장시 해당 유틸 버전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경?? MAKCommand 2025. 5. 5. MAKCommand 시작 기존 사용하던 MAK Suite 리빌드하여 MAKCommand 로 변경XP 관련등 쓰지않는 기능삭제64비트 전용 goodbye MAK SUITE... MAKCommand 2025. 5. 2. MAK Diskpart v1.7.7 v1.7.7-안정화v1.7.6- MBR로 디스크 구성시 초기화하지 않던 문제 발견하여 수정 (mbr 을 자주 사용하지 않다보니 늦게 발견 ㅠ)v1.7.5- 가상디스크에도 적용가능하게 변경- 세로 창크기 확장 가능하도록 변경v1.7.0- EasyDiskpart - > MakDiskpart 변경- usb 디스크 구성 기능 삭제 - rufus등 대체제가 훨씬 좋으므로 ..- 디스크 구성 - 디스크 구조 저장 및 불러오기 기능 추가 MAK Tools/MAK Diskpart 2025. 4. 22. EasyDiskpart 기능추가 업데이트 v1.5.0 디스크 새로 구성하기 기능을 추가했습니다.말그대로 디스크를 초기화하고 새로 파티션들을 구성해주는 기능입니다.MBR 디스크로 할지 GPT 디스크로 할지 부팅용 USB로 할지 선택하면해당 디스크유형에 맞는 프로필이 자동으로 바뀌며 프로필을 선택하여 원하는 파티션 구조로 만들수 있습니다.잘못된 옵션을 선택하지 않도록 디스크 유형이나 파티션 유형에 맞지 않는 옵션은 자동으로 보이지 않거나 회색으로 제한을 걸었습니다.예를 들어 부팅파티션은 삭제를 할수 없게 하거나, GPT디스크의 ESP파티션의 파일시스템은 변경하지 못하게 하거나 등입니다.아 물론, 왼쪽의 순수 DISKPART 기능들은 제한없이 옵션들이 표시됩니다.예를 들어 32GB가 넘는 파티션에 우클릭해도 NTFS포맷 옵션이 나옵니다. 실제로 수행하면 물론 에.. MAK Tools/MAK Diskpart 2021. 6. 4. EasyDiskpart 소개 윈도우의 Diskpart 명령줄을 간단하게 마우스 조작으로 할 수 있는 툴입니다.Diskpart 명령줄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 도움되시기 바랍니다.Diskpart는 포커싱(select)을 한후 조작하는 시스템이라 그런 로직에 맞게 GUI를 꾸몄습니다.몇년전에는 너무 대충 만들어서 이번에는 좀더 개선시켜 다시 만들어 봤습니다.다음 버전에서는 디스크를 선택하여 디스크를 새로 구성하는 기능을 만들 예정입니다.구성시에는 자주 사용되는 파티션 구조 프로필을 몇가지 미리 넣어 선택만 해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생각하고 있습니다.사용법은 그냥 실행해서 선택해보고 우클릭해보고 하면 바로 알 수 있을거라 생각되기때문에 아래와 같이몇가지 스샷으로 대체합니다. EasyDiskpart 관련글 'MAK Tool.. MAK Tools/MAK Diskpart 2021. 5. 23. Windwos 8 멀티부팅에 관하여 정석대로 윈도우 8을 설치하여 윈도우 7계열과 멀티부팅을 하게 되면, 가장 불편한 점이 무조건 윈도우8 커널로 시작되어 로그인 전까지 부팅이 된다음, 멀티부팅메뉴가 구성되는데, 그 상태에서 윈도우8을 선택하면 바로 로그인이 되지만 윈도우7로 선택을 하게되면, 이미 윈도우8커널을 시작했으므로 바로 윈도우7로 바로 부팅이 되지 않고 시스템이 재시작되어 post과정부터 다시 시작되어 자동으로 윈도우7로 부팅이 된다. 화면상으로 멀티부팅 메뉴지만, 실제론 재부팅해서 고르는거와 똑같은 것이다. 다만 기본 부팅이 윈도우8인것은 여전하고 bcdedit /bootsequence {guid} 기능과 같이 윈도우 8 부팅메뉴에서 고른 부팅항목을 1회성으로 기본부팅으로 바꿔 재부팅한 후 해당 부팅항목으로 자동으로 부팅이 되.. Tips/Windows 2012. 8. 22. VHD부팅시 자식과 부모의 변화분 충돌 부모VHD에서 깨끗한 자식VHD를 생성하여 부팅을 하면 당연히 깨끗하기 때문에 그대로 부모에게서 상속을 받는건 아시죠? 그러면 다른 상황을 가정해보죠. 자식은 한개뿐이라고 할때,자식으로 부팅을 해서 무언가 변화를 주고 그다음 다시 부모로 부팅을 해서 부모에서도 변화를 주고 자식으로 부팅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자식은 이미 변화분을 가지고 있는데 그상태에서 다시 부모의 변화분을 상속받는 과정에서 충돌이 생겨버립니다. 그래서 부팅과정중 윈도우 부트스크린에서 블루스크린을 보게 됩니다. 그러면 자식으로 부팅만 해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종료하여 다시 부모로 부팅을 하고 똑같이 아무것도 하지 않고 종료를 한다음 자식으로 부팅을 하면 어떻게 될까요? ※참고사항 처음 생성한 자식VHD파일의 용량은 90K정도밖에 .. Tips/VHD 2012. 5. 16. VHD 파일 실제 용량 최적화 고정디스크방식의 VHD는 말 그대로 고정디스크이기때문에 하드디스크에서 차지하는 VHD파일의 용량이 처음 VHD파일을 생성했을 때 정한 크기로 항상 같습니다. 동적디스크방식의 VHD는 실제 VHD안에 포함된 내용물의 용량만큼만 하드디스크에서 차지하는데요, VHD에 아직 미숙한 분은 이런 질문을 할지도 모릅니다. “동적VHD인데도 VHD파일을 보면 항상 최대용량크기이던데?” 이것은 VHD로 부팅한 상태에서는 해당 VHD파일이 마운트되기 때문에 VHD는 최대용량으로 확장하기 때문입니다. 해당 VHD파일로 부팅을 하지 않고 다른 윈도우7이나 PE상태에서 VHD파일을 보게되면 실제 하드디스크에서 차지하는 용량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이용해서, 자동교차 VHD부팅을 하는 유저가 현재 자신이 부팅된 VHD가 A인.. Tips/VHD 2012. 4. 22. 새 하드디스크에 기존 VHD옮겨서 부팅하기 VHD부팅으로 윈도우를 사용하다가, 퍼포먼스가 좋은 SSD를 새로 구매하여 기존 VHD를 SSD에서 부팅하려면 어떻게 할까요? 먼저 정석대로 해볼가요? 새 하드디스크를 포맷해준 다음 부모VHD파일을 먼저 복사해야겠죠? 여기에서 새하드디스크만으로 부팅까지 하려면 새하드디스크에 시스템파티션을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새하드디스크의 파티션에 활성화까지 걸어주어야합니다. 그런 다음 부모VHD를 마운트합니다. 마운트된 VHD드라이브가 G: 이고, 새하드디스크의 활성화한 파티션이 F:일 경우 커맨드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BCDBOOT G:\WINDOWS /S F: /L KO-KR 이렇게 하면 이제 새하드디스크에서 부모VHD로 부팅이 가능합니다. 여기까지는 쉬운데, 자동교차부팅을 하던 유저는 자식VHD들은 옮긴 .. Tips/VHD 2012. 4. 16. 이전 1 ··· 3 4 5 6 7 8 9 ··· 19 다음